리스크 관리
리스크 관리

리스크 관리체계
리스크 관리 조직
한화오션은 기업활동 전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하여 식별, 대응, 모니터링 등을 수행하는 리스크 관리체계를 상시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리스크 유형별로 실무 조직들은 1차적으로 해당 업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인지하고 리스크의 고유 성질, 영향 및 발생확률 등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제거 또는 완화, 모니터링 등의 절차를 수행합니다. 주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대표이사, 각 사업부장, 제조총괄, 실장 등 경영진이 참여하는 경영진 협의체를 거쳐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로 보고되며, ESG 관련 항목들은 ESG 위원회에서 심의되거나 ESG 위원회를 거쳐 이사회에 안건 상정, 보고됩니다.
전사 리스크 관리조직 및 역할

사업리스크, 프로젝트리스크, 전략, 운영, 재무리스크, 유동성, 이사회
ESG리스크, 환경, 사회, 지배구조, ESG 위원회, 감사위원회, 대표이사, 경영진 협의체
ESG리스크, 환경, 사회, 지배구조, ESG 위원회, 감사위원회, 대표이사, 경영진 협의체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2024년에는 식별된 리스크 항목 중에서 노출된 위험 수준을 기준으로 항목 매핑 및 우선순위화를 진행한 결과, 집중 관리 리스크로 5가지 항목이 선정되었습니다. 글로벌 에너지업계 시황, 규제 및 거시 경제 등의 대외적 환경부터 인력 운영 및 안전, 기술 개발 등 회사 내부 운영 측면에서의 항목이 포함되었으며, 해당 항목에 대하여 대응 활동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잔여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리스크 평가 결과
No. | 집중관리 리스크 항목 | 영역 | 리스크 설명 | 잠재적 영향 | 주요 대응 활동 |
---|---|---|---|---|---|
1 | 해양 플랜트 수요 변동 리스크 |
전략 | 글로벌 에너지 수요, 지정학적 이슈 등에 따라 해양플랜트 발주량이나 수주 타이밍이 변동함에 따른 수주에 불확실성이 증가 |
|
|
2 | 주력 미래 선박 상용시점 변동 리스크 |
전략 | 고효율/환경 이슈에 부합하는 선박의 상용 시점이 불확실하거나 지연되는 상황 발생 가능 (예: 기술 개발 지연, 국제 협의 및 인프라 미비) |
|
|
3 | 직영/사내 생산 인력 수급 부족 리스크 |
운영 | 숙련 생산인력이 적시에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생산 일정 지연 가능성 존재, 그에 따른 제품 품질 저하 및 원가 상승 등의 위험 존재 |
|
|
4 | 안전사고 발생 리스크 | 운영 | 인적/물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 존재 |
|
|
5 | 환율변동 리스크 | 재무 | 선박 및 해양 제품은 거의 대부분 외화($, €등)로 계약함에 따라 손익이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