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경영
환경경영

2030년까지 폐기물 재활용률을 67.10%로 제고하기 위해 주요 추진 사항으로 사내 폐기물 집하장의 수 선별 작업 확대, 가연성 소각 폐기물의 재활용 업체 반출 확대(23년 45%에서 30년 약 70%로), 지역민 화목지원 반출량 조정(현재 물량 기준 30년 50% 수준) 등이 있습니다. 또한 매립 처분 폐기물 중 재활용 가능 품목 선정과 개선, 지정폐기물의 부분 재활용 가능성 검토, 신규 폐기물 반출 시 재활용 업체 우선 선정 등을 통해 장기적인 재활용 개선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 해당 데이터는 옥포사업장 기준으로 작성된 수치입니다.
-
#1목재 재자원화
한화오션은은 폐기물 재활용 사례로, 폐 합성수지, 폐 합성고무, 폐 목재, 생활폐기물 등 다양한 폐기물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성상 별 선별하여 고형연료(SRF)와 우드칩, 합판 및 각재를 생산하는 재활용업체에 반출하고 있습니다. 당사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재활용 업체에서 생산된 고형연료는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되어 발전소, 지역난방 및 산업용 보조연료로 공급되며, 유연탄을 대체하는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 목재를 재활용하여 우드칩과 합판, 각재를 생산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함으로써 자원의 순환을 촉진하고 환경보호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
#2분진 및 광재 재자원화
한화오션에서는 분진과 광재와 같은 폐기물이 발생하면 성상별 선별하여 경쟁력을 갖춘 재활용 업체에 처리하고 있습니다. 재활용 업체에서는 해당 원료로 시멘트 첨가제, 성토제 등과 같은 제품과 함께 금속 및 철강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성형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재활용 과정은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촉진하고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중요한 사례로 손꼽힙니다. 한화오션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산업 폐기물을 가치 있는 자원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지속 가능한 환경 관리 및 자원 순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3폐페인트 및 폐유 재자원화
한화오션은 환경 보호와 자원 순환을 위해 폐페인트 캔과 폐유드럼을 선별하여 재활용 업체로 보내고 있습니다. 페인트 캔은 재활용 과정을 거쳐 철강제품의 원료로 변환되며, 이는 철강산업에서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됩니다. 한편, 폐유드럼은 재생관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며, 이 과정을 통해 폐기물을 가치 있는 자원으로 전환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재활용 활동은 단순히 폐기물을 줄이는 것을 넘어, 지속 가능한 환경 관리에 기여하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합니다.
한화오션은 지속 가능한 환경보호를 위해 물환경보전법, 하수도법 등 기존의 수질 관련 법적 허용기준의 약 30% 수준으로 강화된 사내 관리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질오염물질의 관리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것을 넘어, 환경보호에 대한 회사의 책임과 약속을 실천에 옮기기 위한 것입니다. 한화오션의 이러한 적극적인 접근 방식은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깨끗하고 건강한 물 환경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지표 | 단위 | 2020 | 2021 | 2022 | 2023 | |
---|---|---|---|---|---|---|
TOC | TOC 배출량 | ton | 0 | 0 | 0.145 | 0.259 |
TOC 배출 집약도 | ton/억 원 | 0 | 0 | 0.000003 | 0.000003 | |
COD | COD 배출량 | ton | 0.25 | 0.16 | TOC로 변경 | TOC로 변경 |
COD 배출 집약도 | ton/억 원 | 0.0000036 | 0.0000036 | TOC로 변경 | TOC로 변경 | |
SS | SS 배출량 | ton | 0.04 | 0.035 | 0.031 | 0.019 |
SS 배출집약도 | ton/억 원 | 0.00000058 | 0.00000078 | 0.00000064 | 0.00000026 |
한화오션은 선박 건조에 사용하는 화학물질이 임직원의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화학물질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매부터 폐기까지 모든 과정을 철저하게 관리합니다. 화학물질 관리 강화를 위해 자동 체크 시스템 구축, AI 기반 검색 및 알람 기능 개발, 선주/Vendor 통관 물품 조사 및 수기 관리를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적용 및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표 | 단위 | 2020 | 2021 | 2022 | 2023 |
---|---|---|---|---|---|
유해화학물질 사용량 | ton | 0 | 0 | 0.05 | 913.8 |
지표 | 단위 | 2020²⁾ | 2021 | 2022 | 2023 | |
---|---|---|---|---|---|---|
NOx | 질소산화물(NOx) 배출량 |
ton | 8.793 | 6.896 | 8.107 | 8.878 |
질소산화물(NOx) 배출 집약도 |
ton/억 원 | 0.000125 | 0.000154 | 0.000167 | 0.000119 | |
SOx | 황산화물(SOx) 배출량 |
ton | 1.138 | 0.023 | 0.124 | 0.47 |
황산화물질(SOx) 배출 집약도 |
ton/억 원 | 0.000016 | 0.000001 | 0.000003 | 0.000006 | |
VOCs | 휘발성유기화학물질 (VOCs) 배출량 |
ton | 3,245 | 1,871 | 1,257 | 1,375 |
휘발성유기화학물질 (VOCs) 배출 집약도 |
ton/억 원 | 0.046158 | 0.041702 | 0.025863 | 0.01856 | |
PM | 먼지(PM10) 배출량 |
ton | 21.86 | 13.54 | 13.5 | 13.36 |
먼지(PM10) 배출 집약도 |
ton/억 원 | 0.00031 | 0.000302 | 0.000278 | 0.00018 |
- 1) 옥포, 시흥, 안정사업장 기준
- 2) 산출 기준 변경으로 인한 데이터 수정